청년주거지원정책 총정리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아래에 주요한 청년 주거 지원 제도들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공공임대주택
① 행복주택
- 대상: 만 19~39세 청년, 대학생, 신혼부부 등 무주택자
- 지원 내용: 시세의 60~80% 수준으로 임대주택 공급
- 신청 방법: 공공주택 사업처별 청약접수처를 통해 신청
② 역세권 청년주택
- 대상: 만 19~39세 청년, 대학생, 신혼부부 등 무주택자
- 지원 내용: 역세권 등 좋은 위치의 주택을 저렴한 임대료(시세 30~50%)로 공급
- 신청 방법: LH 청약플러스 및 관할 지자체를 통해 신청
③ 청년안심주택 (서울시)
- 대상: 만 19~39세 청년, 대학생, 신혼부부 등 무주택자
- 지원 내용: 역세권 및 간선도로변에 위치한 임대주택을 시세의 30~85% 가격으로 공급
- 신청 방법: 서울주거포털을 통해 신청
2. 전세자금 대출
①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대출
- 대상: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 지원 내용: 연 2.0%~3.1% 금리로 최대 2억 원까지 전세자금 대출 지원
- 신청 방법: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② 중소기업청년 전세자금대출
- 대상: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만 34세 이하 청년
- 지원 내용: 연 1.2% 금리로 최대 1억 원까지 전세자금 대출 지원
- 신청 방법: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3. 월세 지원
① 청년월세 특별지원
- 대상: 만 19~34세 무주택 청년
- 지원 내용: 보증금 5천만 원 및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월 최대 20만 원씩 12개월간 지원
- 신청 방법: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②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 대상: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39세 무주택 청년
- 지원 내용: 임차보증금 8천만 원 이하 및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월 20만 원씩 최대 12개월간 지원
- 신청 방법: 서울주거포털을 통해 신청
4. 주거급여 분리지급
- 대상: 기초생활수급가구 내 부모와 떨어져 거주하는 만 19~30세 미혼 청년
- 지원 내용: 청년의 거주지에 따라 주거급여를 분리하여 지급
- 지원 금액: 청년이 거주하는 지역의 급지와 임차료에 따라 상이
- 예시:
- 서울(1급지): 최대 352,000원
- 경기·인천(2급지): 최대 281,000원
- 광역시·세종(3급지): 최대 228,000원
- 그 외 지역(4급지): 최대 191,000원
- 예시:
- 신청 방법: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가구주가 거주하는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5. 주거안정장학금
- 대상: 기초·차상위 계층 대학생 중 부모와 다른 지역에서 거주하는 경우
- 지원 내용: 월 최대 20만 원의 주거 관련 비용 지원
- 신청 방법: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또는 모바일 앱에서 신청
6.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 대상: 만 19~34세 청년
- 지원 내용: 연 4.5%대 금리의 청약통장으로 비과세 혜택 및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가능
- 신청 방법: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7. 마이홈 앱 활용
정부는 193개에 달하는 청년 주거정책을 10개 유형으로 단순화하여 '마이홈' 앱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마이홈 앱에서는 자가진단을 통해 개인에게 맞는 주거정책을 추천받을 수 있으며, 신청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청년 주거 지원 정책은 다양하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지원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각 정책의 신청 기간과 조건을 확인하여 적절한 지원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신청방법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조건청년도약계좌는 대한민국 정부가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만 19세부터 34세 이하의 청년이 매월
eujinhouse.com
2025 복지정책 (장애인복지, 서민지원, 여성복지등)
2025 달라지는 복지정책 총정리1. 2025년 달라지는 복지 정책 요약2025년에는 복지 분야에서 여러 가지 변화가 있습니다. 특히 기준 중위소득의 인상으로 인해 더 많은 가구가 복지 혜택을 받을 수
eujinhouse.com
🔥 2025년 정부 지원금 총정리 – 받을 수 있는 지원금 확인하기
✅ 2025년, 나도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금이 있을까요?✅ 정부에서 지원하는 청년 지원금, 육아 지원금, 긴급 복지 지원금을 확인하세요!오늘은 **2025년 기준 최신 정부 지원금 정보**를 한눈에 정
eujinhouse.com
2025년 공공임대주택 조건 및 내용 완벽 정리
공공임대주택 입주조건 총정리2025년 현재, 대한민국의 공공임대주택 제도는 무주택 서민과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된 주거복지 정책의 핵심입니다. 정부는 올해 역대
singing3.tistory.com